ART GALLERY

안토넬로 다 메시나 - 십자가형 삼부작

BoRu 2023. 7. 3. 21:42
728x90

 

안토넬로 다 메시나 Antonello da Messina

 

 

십자가형 삼부작 Crucifixion

 

 

시비우 십자가형 The Sibiu Crucifixion

1454-1455. 나무 위 유화. 39x23.5cm. 루마니아 시비우 브루켄탈 국립 박물관 소장

 

앤트워프 십자가형 The Antwerp Crucifixion

1475. 나무 위 유화. 59.7 x42.5 cm. 벨기에 앤트워프 왕립 미술관 소장

 

런던 십자가형 The London Crucifixion

1475. 나무위 유화. 42 x 25.5 cm. 영국 런던 국립 미술관 소장

 

 

<십자가형>은 이탈리아 르네상스 거장 안토넬로의 삼부작입니다. 첫 번째는 1454/1455년경에 완성되었고, 두 번째와 세 번째는 1475년에 완성되었습니다.

 

왼쪽에서부터-

<시비우 십자가형>

네덜란드 플랑드르 화파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는 초기 작품인 <시비우의 십자가형>은 처음에는 알려지지 않은 14세기 독일 화가의 작품으로 여겨졌습니다. 예루살렘에 대한 배경은 메시나(지역)의 상징적인 모습이 묘사되어 있는데, 이는 아마 샤크라 컨퍼바치오네 Sacra conversazione 형식을 따른 (기록이 남아있지 않은) 고객의 요청일 것입니다.

*샤크라 컨버바치오네: 이탈리아 르네상스 회화에서 발달한 장르로, 의뢰자의 초상화를 그리거나 수평적이고 조금 더 자유로운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앤트워프 십자가형>

<앤트워프의 십자가형> 은 마리아와 전도자 요한이 땅에 앉아 있는 두 명의 행악자 사이에 십자가에 못 박힌 그리스도를 나타냅니다. 작품은 아래 부분에 플랑드르 화파의 전형적인 풍경묘사 특징을 보여줍니다. 상반부에 있는 십자가의 공간 배치는 당시 이탈리아 예술에 알려진 혁신적인 원근법에 대한 안정된 이론을 보여줍니다. 이 그림에 대해 이탈리아 학자 로베르토 롱기 Roberto Longhi는 윗부분이 몇 년 후에 추가되었다고 주장하기도 했었습니다.

왼쪽 하단에는 화가가 두루마리에 자신의 이름과 1475년이라는 날짜를 적었습니다. 이는 서명(12)과 날짜(10)가 있는 몇 안 되는 작품 중 하나이기 때문에 그의 작품에서 매우 중요한 가치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스도는 패널 중앙의 십자가에 매달려 있습니다. 선한 도둑과 악한 도둑은 십자가에 달리신 그리스도 옆에 잘린 나무에 묶여 있습니다. 사형 선고를 받은 세 사람의 시신은 사실적이고 조형적으로 표현되어 있습니다. 해부학적 연구와 해부를 통한 인체 연구는 이탈리아 르네상스 예술가의 드로잉 예술에서 중요한 부분이었는데 이는 안토넬로 역시 예외는 아니었습니다. 땅에서 마리아는 슬퍼하며 그리스도께서 총애하시는 사도 요한을 무릎 꿇고 있습니다.

죽음과 구속이라는 주제는 도상학을 접목하여 강하게 나타납니다십자가 아래 두개골을 휘감는 뱀은 죽음이나 악마를 상징합니다. 앞의 부엉이는 밤새다가 낮을 피하듯 "진정한 믿음"을 외면하는 죄인들을 가리킵니다. 십자가 뒤에 있는 나무 그루터기에서 나뭇가지가 자라나는데, 이는 인간과 맺은 하나님의 옛 언약과 새 언약 사이의 대조를 상징합니다.

안토넬로는 계란과 접착제를 기반으로 한 결합제인 템페라를 사용하는 이전 그림 기법보다 색상을 더 풍부하고 생생하게 재현할 수 있는 플랑드르 화파의 유화 기법을 사용했습니다.

 

 

<런던 십자가형>

후기 단계에 속하는 이 그림 역시 안토넬로가 서명하고 날짜를 기입한 몇 안 되는 그림 중 하나입니다. 기하학적 구도는 십자가와 배경의 호수에 의해 두 부분으로 나뉘며 왼쪽에는 성모, 오른쪽에는 성 요한이 있습니다.

삼부작의 그림 속 공통 특징 중 하나인 십자가 아래 해골은 아담을 가리킵니다. 아담과 하와가 뱀의 유혹을 이기지 못하여 죄가 세상에 들어왔으나 그리스도는 십자가형으로 생을 마감하면서 그 타락을 끝냈습니다.

안토넬로가 이탈리아를 떠난 적이 있다는 증거는 없지만, 그는 네덜란드 대가들의 화법에 정통해 있었던 것 같습니다. 일부 학자들은 그가 얀 반 에이크로부터 직접 유화 기법을 배웠으며, 이탈리아에 그 비밀기법을 전수했다고 믿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보다 더 설득력이 있는 것은 안토넬로가 밀라노에서 플랑드르 화파의 영향을 받았다는 주장입니다. 그는 1475-76년에 베네치아에 머물렀고, 그의 독창적인 화법은 조반니 멜리니에게 영향을 주었습니다.

 

 

 

728x90